KBO 최저연봉 1군·2군 총정리 (2025 기준)
1) KBO 최저연봉 제도의 의미
KBO는 리그의 안정적 운영과 선수 보호를 위해 매년 최저연봉 제도를 두고 있습니다. 이는 프로 선수로서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려는 장치이며, 팀별 협상과는 무관하게 모든 선수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 2025년 KBO 최저연봉
- 1군 선수: 약 6,000만 원 (이상 지급 보장)
- 2군 선수: 약 3,000만 원 (이상 지급 보장)
이는 구단별 연봉 협상에서 절대 하향 조정이 불가한 기준선입니다. 단, 신인 선수는 입단 첫해 계약금 + 최저연봉 형태로 시작합니다.
3) 1군과 2군의 차이
KBO는 선수단을 1군(엔트리 28인)과 2군(퓨처스리그)로 운영합니다. 1군 등록 여부는 연봉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지만, 수당·보너스·경기 출장 수익이 크게 달라집니다.
- 1군: 관중 수당, 포스트시즌 수당, 중계료 배분 등 추가 보너스 多
- 2군: 최저연봉만 보장, 부가 수입은 상대적으로 적음
4) 최저연봉의 현실적 문제
최저연봉 6,000만 원은 겉으로 보면 높아 보이지만, 연습생 생활·훈련비·용품비·식비 등을 고려하면 선수들에게는 빠듯할 수 있습니다. 특히 2군 선수들은 퓨처스리그에서 기회를 기다리며 생활비에 대한 부담을 크게 호소합니다.
5) 해외 리그와 비교
메이저리그(MLB) 최저연봉은 약 87만 달러로 KBO와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일본 NPB의 경우 1군 최저연봉은 약 1,600만 엔 수준입니다. 이와 비교하면 KBO는 여전히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FAQ
Q. 신인 선수도 최저연봉을 받나요?
네. 신인 계약금과 별도로 연봉은 최저연봉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Q. 군 복무 선수의 연봉은?
상무·경찰청 복무 중에는 최저연봉 적용이 중단되고, 군 팀 내부 규정에 따릅니다.
Q. 최저연봉은 매년 오르나요?
KBO는 구단과 협의해 매년 조금씩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6) 마무리
KBO 최저연봉 제도는 선수들의 최소 생활을 보장하는 장치이지만, 1군과 2군의 격차, 해외 리그와의 차이를 고려하면 여전히 개선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선수들의 안정적인 생활 보장과 리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앞으로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