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2026 KBO 2차 드래프트 규정 변경 총정리
KBO는 선수 이동 활성화와 전력 균형 강화를 위해 2년마다 시행하는 2차 드래프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2026 시즌을 앞두고 규정 일부가 조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보호선수 명단 구성 방식·지명 가능 선수 범위·보상금 체계 등에 다양한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본 글은 수정된 규정을 바탕으로 정확한 내용을 안내합니다.
요약
2025~2026 KBO 2차 드래프트 규정의 핵심은 보호선수 범위 조정, 자동보호 대상 확대, 지명 이후 등록 의무 강화입니다. 구단의 보호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으며, 베테랑과 육성 선수 이동 가능성이 이전보다 높아졌습니다.
1. 2차 드래프트 개요


2차 드래프트는 KBO 리그 구단이 보호선수 명단을 제출한 후, 이 명단에서 제외된 선수를 다른 구단이 지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신인 드래프트와 달리 기존 프로 선수 대상 제도이므로 팀 전력 구성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주요 규정 변경사항
① 보호선수 명단 규정 조정
2025~2026 시즌부터 다음 선수들은 자동 보호로 간주됩니다.
- 입단 1~3년차 선수
- 군보류·육성선수 보류 이력이 있는 선수
- 특정 FA 보상 선수 규정 적용 선수
이로 인해 베테랑·중견급 선수들이 보호선수에서 제외되어 지명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② 지명 선수 등록 의무 강화
지명된 선수는 다음 시즌 개막 후 일정 기간 내 1군 또는 2군 엔트리에 반드시 등록되어야 합니다. 이는 구단이 단순 보유 목적이 아닌 실제 활용 의도 하에 지명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③ 보상금 체계 강화
지명 시 원 소속구단에 지급되는 보상금 규모가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베테랑 지명 시 리스크를 줄이는 방향으로 운영됩니다.
3. 보호선수 전략 변화


구단들은 보호선수 명단 작성 시 다음 요소를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미래 가치가 높은 선수 보호 우선
- 전력 외 선수 정돈 과정에서 지명 가능성 고려
- 베테랑 선수 보호 여부에 따른 연봉 부담 조정
특히 중견급 선수의 지명 가능성이 커지면서 구단 간 전략 차이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규정 변경의 영향
- 선수 이동 활성화 가능성 증가
- 전력 불균형 해소 기대
- 육성 중심 구단과 즉시 전력 보강 구단의 전략 차이 심화
5. 마무리
2025~2026 KBO 2차 드래프트는 선수 이동 규정이 보완되면서 구단 전략 수립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규정 변경은 전체 리그 전력 균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며, 주전 경쟁과 선수 이동도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KBO 공식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BO 공식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