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개기월식(블러드문) 관측 시간 & 방법 총정리
"블러드문"이라고 불리는 개기월식은 달이 붉게 물드는 신비로운 현상입니다. 2025년 9월 7일~8일 사이 펼쳐질 이번 천문 이벤트는 아시아, 호주, 유럽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관측 가능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약 82분간의 개기월식을 놓치지 않을 수 있어요. 지금부터 시간대별 흐름과 실시간 팁까지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1. 개기월식 시간표 (한국 기준)
월식 단계별 시간 (KST)
- 반영 시작: 2025년 9월 8일 오전 12시 28분
- 부분 월식 시작: 오전 1시 27분
- 개기월식 시작(완전함): 오전 2시 30분
- 최대 월식: 오전 3시 11분
- 개기월식 종료: 오전 3시 52분
- 부분 월식 종료: 오전 4시 56분
- 반영 종료: 오전 5시 55분
관측 팁
- 달이 지평선 근처에 위치하므로, 남서~서측 하늘이 시야에 방해받지 않도록 확보하세요.
- 도시 불빛이 적은 곳에서 관측하면 붉은 달 컬러감이 더욱 선명하게 보입니다.
한국 기준 시간표와 도시별 가시성을 한눈에 보실 수 있도록 공식 페이지를 연결해두었습니다.
한국 기준 실시간 월식 정보 보기2. 개기월식이 일어나는 원리 & 붉은 달의 이유
월식은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들어서면서 달에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현상입니다. 개기월식 동안, 지구 대기층을 통과해 산란된 붉은 빛만 달에 도달해, 붉게 물든 "블러드문"을 볼 수 있어요.
이번 개기월식은 약 82분간 지속되어, 최근 수년간 가장 길고 인상적인 붉은 달 이벤트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조금 더 깊이 있는 배경지식이 필요하시면 아래의 전문 미디어 해설을 참고해 보세요.
Space.com 해설 기사 보기3. 관측 전 체크리스트
- 날씨 체크: 흐림 또는 안개가 끼면 관측 어려워요. 사전 예보 필수.
- 툴 준비: 맨눈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쌍안경이나 소망원경 있으면 더 선명한 관측 가능.
- 시간 확보: 1시간 이상 지속되므로, 자정 이후 충분한 여유와 방한 준비를!
- 카메라 촬영 팁: ISO 800–1600, 느린 셔터(1초 이상), 삼각대·리모컨 준비.
4. 글로벌 관측 가능 시각 (UTC 기준)
이번 개기월식은 UTC 기준으로도 다음과 같이 진행됐어요.
- 반영 시작: 15:28 UTC
- 부분월식 시작: 16:27 UTC
- 개기월식 시작: 17:30 UTC
- 최대 월식: 18:11 UTC
- 개기월식 종료: 18:52 UTC
- 반영 종료: 20:55 UTC
지역별 상세 시간·지도를 보시려면 아래 공식 자료가 가장 편합니다.
전 세계 관측 지도·시간 보기마무리 정리
2025년 개기월식(블러드문)은 서울 기준 자정부터 새벽까지 이어진 하이라이트 천문쇼였습니다. 맑은 하늘과 여유 시간, 최소한의 장비만 준비하면 환상적인 붉은 달을 충분히 즐길 수 있어요. 다음 월식도 놓치지 않도록 공식 자료를 즐겨찾기에 추가해 두세요!
한국어 자료가 더 편하시다면, 한국천문연구원의 월식 안내 페이지를 참고해 보세요.
KASI 개기월식 안내 바로가기반응형